로고

[사설] 격렬비열도, 국가차원에서 격렬하게 관리해야

한국섬뉴스 | 기사입력 2020/11/26 [15:00]

[사설] 격렬비열도, 국가차원에서 격렬하게 관리해야

한국섬뉴스 | 입력 : 2020/11/26 [15:00]

격렬비열도. 그 이름이 격렬(激烈)하게 느껴진다. 격렬비열도는 충청도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섬이다. 동경12534, 북위 3634. 행정구역 상으로는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산28번지다. 안흥항에서 55km 떨어져 있다.

 

이 섬의 본래 이름은 서쪽 끝, 말하자면 물의 끝에 있다 해서 물치라고 불렸다. 그런데 한자로 이름이 지어지는 과정에서, 동도과 서도 북도 등 주요 섬과 9개의 작은 부속 섬이 마치 새가 열을 지어 날아가는 형국이라는 격렬비(格烈飛)에 열도(熱度)가 붙게 되었다.

 

격렬비열도는 중국 산둥반도와 260km, 중국 공해와는 불과 22km 떨어져 있다. 인천과 대산항 등 서해안을 오가는 선박의 90% 이상이 거쳐 가는 항로의 거점이기도 하다. 지정학적으로 보자면 동해의 독도 이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지만 무려 21년이나 무인도로 방치됐다. 1909년부터 1994년까지는 등대관리원 3명이 상주했으나 오지 근무의 어려움과 당시 정권이 '작은 정부'를 지향한다는 명분 아래 무인도로 전환됐다.

 

그러다 201571일 자로 다시 유인도가 됐다. 북격렬비도에 대산지방해양수산청 직원 4명이 2명씩 짝을 지어 15일씩 교대근무를 하게 된 것이다. 2013년 지정학적 중요성을 고려해 해양수산부와 충청남도, 태안군, 기상청, 해경 등이 유인화 협약을 체결한 지 2년 만에 공무원이 상주하게 됐다.

 

중국어선의 불법어업 감시와 인근 해역을 오가는 배들에 불을 비추는 일이 상주 인력의 주요 임무다. 섬 정상에는 직원들이 살 수 있도록 투룸 형식의 숙소 4채가 지어졌고, 섬에 전기를 공급할 태양광 발전시설, 헬기장도 조성됐다.

 

지난 2012년을 기준으로 우리 영해를 침범한 중국어선 2400여 척 가운데 1660여 척, 70%가 격렬비열도 인근에서 불법으로 조업했다는 통계가 있다.

 

공교롭게도 2012년부터 두 차례나 민간인 소유의 서격렬비도를 중국인이 매입을 시도했다. 섬 소유주에게 중국인 사업가 등이 16억 원, 20억 원 등 구체적인 액수를 제시하며 섬을 사들이려 했다. 섬의 토지는 물론, 인근 양식장 허가 관련 서류까지 떼어온 것으로 봐서 섬의 매입은 물론, 인근 어장과 양식장 확보까지 염두에 두고 있었다고 한다.

 

만약, 이때 중국인이 격렬비열도를 실제 매입했다면 그렇지 않아도 중국어선들의 불법 조업 천국인 인근 해역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을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대한민국 최서단은 백령도(12442. 최북단 섬이기도 하다.)지만 NLL을 제외한 휴전선 이남에서는 전남 신안군 가거도다. 그러나 격렬비열도는 이들 섬들과 서해의 영해를 연결짓는 영해기점으로, 대한민국의 제공권과도 직결되는 섬이다. 한 마디로 우리 바다의 국경선인 것이다.

 

게다가 이 지역은 어족 자원, 광물, 문화관광, 생태자원 또한 풍부해 우리의 해양주권이나 자원주권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단 유인도가 됐지만, 사람이 정주하며 살기에는 부족한 게 많다. 가장 시급한 게 생활용수. 섬에 ''이 없다 보니 생활용수를 빗물에 의존하고 있는데 가뭄 때면 물 구경이 쉽지 않다여기에 여객선 등 대형 선박이 정박할만한 접안시설이 없다는 점도 풀어야 할 숙제다. 현재 격렬비열도에 접근할 수 있는 배는 소형 낚싯배 정도다.

 

이 섬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태안군수나 충남도지사가 국가관리 연안항으로 지정해 달라고 중앙정부에 줄기차게 읍소하고 있는데도 쇠귀에 경 읽기다. 항만 건립에 많게는 3000억 원 정도의 예산이 드는데 키를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의 태도가 미온적이다.

 

국가안보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이 섬의 가치를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된다. 일반 도로나 항만 등 SOC 사업을 추진할 때처럼 단순히 경제성만 따지는 단견에서 벗어나, 격렬비열도가 서해의 파수꾼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하루빨리 국가적 차원의 관리를 서둘러야 한다.

 

  • 도배방지 이미지

경기도 인천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